순환계통 단어 |
|
|
|
혈액 |
blood |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고 노폐물을 수거 |
심장막(심막) |
pericardium |
|
심장 |
heart |
혈액이 온 몸을 순환할 수 있는 펌프 역할
|
벽쪽 심장막 |
parietal pericardium |
|
혈관 |
blood vessel |
혈액을 온몸의 세포로 운반해주는 구조물 |
내장쪽 심장막 |
visceral pericardium |
|
림프계통 |
lymphatic system |
조직의 잉여 체액을 순환하여 돌아오게 함 |
심장막액(심낭액) |
pericardial fluid |
심장막 사이 곤간에 채원져 있는 윤활액 심장수축 시에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 |
혈장 |
plasma |
혈액의 액체성분 |
심외막 |
epicardium |
심장바깥막 |
혈구 |
blood cell |
혈액의 세포성분 |
심근막 |
myocardium |
|
섬유소원 |
fibrinogen |
혈액의 응고인자 |
심내막 |
endocardium |
|
알부민 |
albumin |
혈액의 양과 삼투압 유지 |
우심방 |
RA,right atrium |
|
글로불린 |
globulin |
감마글로불린 프로트롬빈 (혈액의 응고인자) |
우심실 |
RV,right ventricle |
|
적혈구 |
RBC(red blood cell) erythrocyte |
적혈구 생성:적색골수 파괴:비장,간 세포성분 가운데 가장 많음 |
좌심방 |
LA(left atrium) |
|
헤모글로빈 |
hemoglobin |
글로빈(단백질)+ 헴(철, 빌리루민) 기능:산소 운반 |
좌심실 |
LA(Left ventricle) |
|
백혈구 |
WBC (White blood cell) Leukocyte |
적색골수 림프조직에서 생성 기능 1) 탐식작용과 세균박멸 2) 염증발생 장소에서 세포잔여물의 청소 3) 황체의 합성
|
사이막(중격) |
septum |
|
호중구 |
neutrophil |
세균감염에 대한 탐식작용 |
정맥 |
vein |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관 대정맥, 중정맥, 소정맥, 세정맥 동맥보다 혈관벽이 얇고 덜 탄력적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판막이 존재 |
호산구 |
eosinophil |
기생충 감염에 반응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탐식작용 |
동맥 |
artery |
심장에서 나가는 혈관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 세동맥 탄성섬유조직이 많이 혈관벽이 두껍고, 탄력적임 혈관이 받는 압력이 높음 |
호염구 |
basophil |
알레르기에 반응 히스타민, 헤파린 분비
|
상대정맥,하대정맥 |
Superior vena cava inferior vena cava
|
온몸에서 우심방으로 가는 혈관 |
림프구 |
lymphocyte |
B림프구: 골수에서 합성되어 항체 형성 T 림프구: 골수에서 합성되어 가슴샘에서 성장하며 면역반응 조절 |
폐동맥 |
pulmonary artery |
우심실에서 폐로 가는 혈관 |
단핵구 |
monocyte |
골수와 비장에서 생성 세균과 조직파편을 제거하는 탐식작용 |
폐정맥 |
pulmonay vein |
폐에서 좌심방으로 가는 혈관 |
단핵구성 탐식세포계 |
MPS (mononuclear phagocystic system) |
탐식작용을 하는 단핵구 계통의 세포를 위치하는 장기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림 |
대동맥 |
aorta |
좌심실에서 온몸으로 가는 혈관 |
큰포식세포 |
macrohpage |
|
삼천판막 |
tricuspid valve |
우심방->우심실 |
랑게르한세포 |
Langerhans cell |
|
이첨판=승모판 |
mitral valve |
좌심방->좌심실 |
뼈파괴세포 |
osteoclast |
|
폐동맥판 |
pulmonary valve |
우심실->폐동맥 |
미세아교세포 |
microglia |
|
대동맥판막 |
aortic valve |
좌심실->대동맥 |
쿠퍼세포 |
Kupffer cell |
|
심장전도계통 |
conducting system |
|
폐포큰포식 세포 |
alveolar macrophage |
|
동방결절 (동방심방결절) |
SA node |
박동조율기의 전기적 심호로 심장수축이 시작됨 심방박동율은 SA node에 의해 조절 |
혈소판 |
thrombobyte platelet,PLT |
적색골수에서 생성 혈액의 최소 고형성분 혈액의 응고 기능 |
방실결절 |
AV node |
|
지혈 |
hemostasis |
1)혈관 파열 ->혈관수축반응 2) 혈관내피세포 손상->바로 아래층 내피하결합조직 노출 3) 일차지혈: 혈소판이 내피하결합조직에 부착, 응집 4)이차지혈: 혈소판에서 조직인자 분비->혈장응고계 촉진->섬유소 형성 5) 섬유소 용해과정 손상된 혈관이 수복 시 섬유소가 없어짐 |
방실다발 |
AV bundle |
히스다발 (His bundle) |
지라 |
spleen |
가장 큰 림푸기관 림프구와 단핵구 생성 혈액의 저장고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떄 내보냄 혈액 정화 오래된 혈액세포 제거 태아에서는 조혈작용이 일어남 |
심장전도근육섬유 |
Purkinje fibers |
|
흉선 |
thymus |
골수에서 형성되어 미선숙한 T림프가 성숙하는 곳.
나이가 들면서 기능이 위축 |
심박출량 |
Cardiac output |
심장에서 분당 분출되는 혈액의 총 부피 분당 4,800 ml
일회박출량x 심장박동수 |
림프액 |
lymphatic fluid |
혈장과 비슷한 조성을 가진 담황색 액체 조직액이 림프관으로 들어간 것 적혈구나 큰 단백질은 존재하지 않음 |
심장박동수 |
heart rate |
|
림프관 |
lymph vessel |
조직액을 빗장밑정맥으로 운반함 림프는 오직 심장을 향해서만 흘러감 정맥 가까이 평행하게 진행함. |
혈액순환 |
circulation |
|
암죽관 |
lacteal |
소화된 지방을 흡수해 순환계통으로 보내는 소장 융모의 특화된 림프관 |
폐순환 |
cardiopulmonary circulation |
산소를 잃은 혈액이 심장에서 폐로 이동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교환 폐->심장
우심실->폐동맥->폐의 모세혈관-> 폐정맥-> 좌심방 |
림프절 |
lymph node |
작은 타원형 또는 콩 모양의 구조물 온몸에 퍼진 림프관을 따라 존재 림프를 통해 미생물이나 외부물질이 들어오면 림프구 생성 자극 림프 내 병원체를 정화 생성된 림프구는 다시 림프를 통해 혈액으로 들어감 |
가스교환 |
|
폐포에 있는 산소와 모세혈관의 이산화탄소의 교환 산소는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 |
편도 |
tonsil |
가장 단순환 림프기관 입과 코로 들어오는 항원을 제거 |
전신순환 |
systemic circulation |
좌심실-> 대동맥-> 온몸의 모세혈관->대정맥 ->우심방 |
인두편도 |
phayngeal tonsil (=adenoid) |
|
관상순환 |
coronary circulation |
산소가 많은 동맥혈을 심장근육으로 운반 대동맥-> 오른심장동맥과 왼심장동맥 이산화탄소가 많은 정맥혈을 심장으로 운반 심장정맥굴->우심방 |
귀인두관편도 |
tubal tonsil |
|
모세혈관 |
capillary |
가장 작은 혈관으로 조밀한 혈관망을 형성함 한 층의 내피세포로 구성됨 다양한 세포와 물질에 대한 선택적 투과(혈장, 백혈구,영양분, 대사산물, 산소, 이산화탄소) |
목구멍편도 |
palatin tonsil |
|
|
|
|
설편도 |
lingual tonsil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