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6.04 호흡계통과 비뇨계통 단어 정리카테고리 없음 2023. 6. 4. 12:59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국진 지킴이입니다.
오늘은 호흡계통과 비뇨계통 단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호흡계통 단어 비뇨계통 단어 호흡 respiration 물질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인체의 세포와 조직으로
공급하는 과정콩팥(신장) kidney/renal 복강의 상부, 후복벽, 복막 뒤 양쪽 등쪽에 1개씩 2개 외호흡 external respiration 폐와 외부환경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요관 ureter 콩팥과 방광을 연결하는 가느다란 관
각 요관은 콩팥깔때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방광 뒤벽에 개구함
연동 운동에 의해 소변을 방광으로 전달들숨(흡기) inspiration 공기가 신체로 유입됨
(폐포->모세혈과)
바깥갈비사이근의 수축으로 갈비뼈를 위로 올림
가로막이 내려와 가슴안 공간 확장
가슴안 용적 증가
공기가 폐포로 들어옴방광 bladder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근육성 주머니
골반 안에 있는 확장성이 있는 주머니
방광 아래쪽은 요도와 연결됨날숨(호기) expiration 이산화탄소가 배출
(모세혈관->폐포)속갈비사이근의 수축으로 갈비뼈를 아래로 내림
횡격막이 올라가
흉강의 공간이 좁아짐
가슴안의 용적 감소로 공기가 폐포에서 내부로 나감요도 urethra 방광에서 소변을 배출하는 얇은 벽을 가진 관
점막과 민무늬근육으로 이루어져있음내호흡 internal respiration 세포와 조직액 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소변의 배출경로 콩팥에서 소변 형성->요관->방광에서 저장-> 요도를 통해 배출 세포 호흡
(=산화)cellular respiration
(=oxidation)세포 내에서 영양분을 분해해서 에너지(ATP)를 얻기 위해 산소를 사용
산화 후 노폐물은 호흡과정을 통해 배출됨혈액 여과 blood filteration 체액의 노폐물
배설상부기도 upper respiratory tract 항상성 homeostasis 체내 수분, 전해질, 산염기 균형 조절
혈압 조절
비타민 D 활성황
:체내 칼슘 흡수비강 nasal cavity 코중격에의해
좌우로 분리콩팥겉질(신피질) renal cortex 콩팥의 표면을 감싸는 바깥층
과립모양
콩팥단위(네프론)
위치인두 pharynx 콩팥수질(신수실) renal medulla 좀더 붉게 보이는 안쪽, 줄무늬를 이루는 깔때기 모양
콩팥피라밋(신추체)로 구성후두 larynx 콩팥피라밋
신추체renal pyramids 바닥은 콩팥겉질과 연결됨.
꼭지부분은 콩팥유두(신유두)하부기도 lower respiratory tract 콩팥깔때기(신우) renal pelvis 큰콩팥잔
(major calyx)
작은콩팥잔
(minor calyx)
기관trachea 식도 앞에 위치
반지연골(윤상연골)~ 기관지 분기점(carina)콩팥문 renal hilum 신장의 안쪽에 움푹 파인 부분
혈관, 신경, 림프관 및 요관이 지나는 통로기관지 bronchus 오른쪽 기관지가 왼쪽 기관지보다 짧고 굵으며, 수직에 가까움 콩팥기둥(신주) renal column 겉질의 일부가 수실 사이로 들어가 있는 구조
인접한 콩팥피라밋을 구부세기관지 bronchiole 네프론 nephron 콩팥의 기능적 ,구조적 단위
한쪽 콩팥에 100~150만개의 콩팥단위가 있음
네프론=
콩팥소체+콩팥세관종말세기관지 terminal bronchiole 콩팥소체 renal corpuscle 호흡세기관지 respiratory bronchiole 토리(사구체) glomerulus 모세혈관 뭉치
들토리세동맥에서 들어와서 날토리세동맥으로 빠져나감허파꽈리
(폐포)alveoli 성인의 경우 5백만 개
모세혈관 그물에 싸여있어 산소/이산화탄소 교환이 일어남들토리세동맥 afferent arteriole 벌집뼈(사골) ethmoid bone 날토리세동맥 efferent arteriole 보습뼈(서골) vomer 토리주머니
(보우만주머니)Bowman's capsule 컵 모양의 주머니 코중격 nasal septum 발세포의 발돌기 Foot processes
of podocyte토리모세혈관을 둘러싸고 있으며, 그 사이에 얇은 틈새로 여과됨 코곁굴
(부비동)paranasal sinue 비강을 둘러싼 뼈 속이 빈 공간
발성 시 공명
머리뼈를 가볍게 함콩팥세관(신세관) renal tuble 재흡수와 분비가
이루어짐이마굴
(전두동)frontal sinus 토리쪽곱슬세관
(근위세뇨관)proximal
convoulted tubule벌집굴
(사골동)ethmoidal sinus 콩팥세관고리 loop of Henle 나비굴
(접형동)sphenoidal sinus 먼쪽곱슬세관
(원위세뇨관)Distal
convoulted tubule위턱굴
(상악동)maxillary sinus 집합관 collecting duct 인두 pharyx 여과 filteration 혈액이 들토리세동맥으로 들어와서 형성된 토리에서 여과가 이루어짐
들토리세동맥> 날토리세동맥
토리주머니 공간으로 혈액 내 수분과 용질이 여과됨
수분, 전해질, 포도당, 아미노산, 요소는 여과되나 적혈구, 혈장단백질은 빠져나가지 못함.코인두
(비인두)nasal pharynx 인두편도,
이관편도재흡수 reabsoprtion 근위세뇨관에서 수분(80%),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전해질이 흡수되고
원위세뇨관을 통해서 수분(10~15%) 흡수됨.입인두
(구인두)oral pharynx 공기와 음식의 공통 통로, 목구멍 편도, 혀편도 분비 secretion 암모니아, 크레아티닌, 일부 약물, 수소이온, 칼륨이온 분비
->전해질 및 산염기 평형 유지후두인두
(후인두)laryngopharynx 혀 기저부~식도 사구체 여과율 GFR
(glomerular
filteration rate)토리모세혈관에서 토리주머니로 걸러지는 액체의 양
콩팥에서 1분 동안에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
정상범위:분당 90~120mL후두 larynx 인두와 기관 사이에 위치
9개의 연골로 구성항이뇨호르몬 ADH
(Antidiuretic
Hormone)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 먼쪽곱슬게세관과 집합관에서 수분을 재흡수하여 소변농축 후두덮개 epiglottis 음식물의 하부기도 유입 방지 알도스테론 Aldosterone 부신겉질에서 분비
콩팥에서 분비되는
레닌에 의해 분비 증가
원위세뇨관과 콩팥세관고리의 오름다리에 작용
나트륨 재흡수 증가, 칼륨 분비 증가, 수분 재흡수
소변으로 나가는 수분 감소-> 혈압 상승방패연골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 부갑상샘호르몬 PTH
(parathyroid
hormone)칼슘(Ca)재흡수 증가, 인의 분비 증가
->혈중 칼슘 농도
상승반지연골
(윤상연골)cricoid cartilage 속요도조임근 internal urethral
sphincter소변이 지나가지 않을 떄 요도의 닫힘을 유지하는 불수의적인 근육 성대 vocal cord 후두공간 내에 앞뒤로 주행하는 2줄의 점막주름,공기에 의해 진동이 일어나 음성 발생 바깥요도조임근 external urethral sphincter 수의적으로 배뇨를 억제하고 배뇨 시 이완됨. 폐포
큰포식세포alveolar macrophage 폐(허파) lung 흉곽 내에서 가장 큰 기관
기능:공기과 혈액 사이의 가스교환
오른쪽 폐:3엽
왼쪽 폐: 2엽폐첨부 apex 허파꼭대기 폐기저부 base 허파바닥 폐문 hilum 허파문 폐실조직 parenchyma area 기관,기관지, 세기관지, 폐포 흉막 plura 폐를 싸고 있는 두 겹의 얇은 장막 장측흉막 visceral pleura 내장쪽가슴막 벽쪽흉막 parietal pleura 벽쪽 가슴막 흉막강 plueral cavity 내장쪽 가슴막과 벽쪽 가슴막 사이의 공간
약 15cc 의 장액성 액체가 있어 호흡하는 동안 윤활제 역할가슴세로칸(종격) mediastinum 가슴막 사이 공간
가슴의 정중면을 따라 양쪽 폐 사이에 위치폐순환 우심실->폐동맥->폐모세혈관->폐포표면에서 가스교환->폐정맥->좌심방->좌심실->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순환 기관지순환 가슴대동맥->기관지동맥->기관과 페포조직에 혈액을 공급 숨뇌(연수) medulla 중추신경계의
호흡중추가로막신경
(횡경막신경)phrenic nerve 가로막과 갈비사이근 관장 미주신경 vagus nerve 후두, 폐, 복부 장기 관장 정상호흡 eupnea 들숨과 날숨이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안정상태의 호흡 무호흡 apnea 일시적인 호흡운동 중단 호흡곤란 dyspnea 호흡이 어렵고 힘든 주관적인 느낌 과다호흡 hyperpnea 호흡의 깊이와 수가 증가 느린호흡 bradypnea 비정상적으로 호흡수가 감소 빠른호흡 tachypnea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얕게 하는 호흡 과호흡 hyperventilation 빠른 호흡으로 인해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급격한 소실
-알칼리혈증 유발
현기증, 실신728x90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