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8.30 만성폐쇄성폐질환카테고리 없음 2023. 8. 30. 19:02728x90반응형
만성 폐쇄성폐질환 주의 사항
1) 금연이 중요하다
2) 요리할 때 생기는 연기나 화학물질 흡입을 피해야 한다.
3) 감기나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들과 접촉하지 말고 자주 손을 씻도록 한다.
4) 매년 독간주사를 맞는 것이 좋다. (매 5년마다 폐구균 백신 접종)
5) 환기가 중요
6) 심하게 피곤하거나 저절로 체중이 많이 감소되면 진료를 받는다.
7) 입술과 손톱이 청색으로 보이면 진료를 받는다.
8) 공기가 오염되었거나 대기 지수가 나쁠 때는 밖에 나가거나 운동하지 않는 것이 좋음.
만성폐쇄성폐질환?
* 폐가 손상되고 숨쉬기 힘들게 되는 질병
만성 기관지염(연속된 2년간 최소 3개월 동안 과다한 가래 동반)+ 폐기종( 폐 안에 공기 주머니가 파괴되어 숨 쉰 공기가 폐 안에 갇혀서 머물로 공기 주머니 안에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불가) 이 합쳐진 상태가 많음.
원인: 장기간의 흡연과 유전, 공기 오염, 어린시절의 감염, 흡인 손상
만성폐왜성폐질환은 전염되지 않는다.
보통은 대개 진행적이며 치료가 어려우나 금연과 약물이 도움이 된다.
증상 및 징후: 운동할 때 호흡곤란 악화 또는 빈번한 상기도 감염 시 호흡곤란 악화
점차 악화되면서 쉴 때에도 기침이 지속되거나 많은 가래를 뱉어내야하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부랑ㄴ하며 숨 쉬는 데 장애를 겪음.
기관지 안에 타액으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기타 증상: 빈번한 폐 감염, 쌕쌕거림, 체중 증가와 청색 입술과 피부
폐기종의 증상: 숨가뿜, 술통형 가슴, 체중 감소를 일으키나 기침 및 가래는 적다.
만성폐쇄성폐지로한은 심장에 부담을 주기도 한다.
증상, 자세한 신체 진찰, 폐기능 검사, 흉부사진과 동맥혈 검사를 통해 진단될 수 있다.
치료 목표: 증상을 완화
치료: 금연, 운동 자세벼노하 , 기관지확장제, 수분 공급 , 독감 백신과 폐렴 백신,산소, 항생제, 충혈제거제, 호흡운동
항생제 및 백신: 감염 예방
폐 이식: 유전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
출처:현상 임상의 이해
728x90반응형